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 남성 투자자가 여성의 2배에 달하는 나타났다. 30~40대 남성은 전체 비중의 약 40%를 차지했다.
30일 연합뉴스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에 의뢰해 취합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코인원만 2월 말 기준)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 등 국내 5대 거래소의 회원 수는 총 1516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번 집계는 같은 사람이 여러 거래소에 계정을 가진 경우를 중복으로 합산해 이뤄졌다.
이 중 남성 회원은 1013만명으로, 여성 회원인 503만명 보다 2배 이상 많았다. 특히 30대 남성(310만명)과 40대 남성(267만명)의 비중이 전체의 38.1%를 차지했다.
투자자들의 연령대를 보면 30대가 451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397만명, 20대 이하가 292만명, 50대가 264만명 등이었다. 60대 이상 고령층은 112만명에 그쳤다.
100만원 미만의 가상자산을 보유한 투자자는 1260만명으로 전체의 83.1%에 달했다. 대다수가 비트코인 0.008개 미만 수준의 코인을 보유한 셈이다.
또 100만~1000만원의 가상자산을 보유한 투자자는 157만명이었고, 1000만~1억원은 83만명, 1억원 이상은 16만명 등이었다.
가상자산을 1억원 이상 보유한 투자자는 40대 남성이 3만6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남성도 3만5000명으로 이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1억원 이상 투자한 40대 여성은 1만4000명에 그쳤다. 다만 50대 여성은 2만명이 넘어가면서 상대적으로 수가 많았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50대 여성이 자녀 증여나 상속 등을 염두에 두고 스테이블 코인 등에 크게 투자하는 경우가 있다고 진단했다.
100만원 미만 소액 투자자 중에선 20대 이하 남성(200만명)이 여성(68만명)의 약 3배에 달해서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 남성 비중이 유독 컸다. 입대를 전후해 코인 투자에 입문하는 경우도 많은 점 등이 원인일 것으로 해석된다.
차규근 의원은 “가상자산 시장이 더욱 성장하기 위해서는 이용자 보호는 물론, 건전하고 투명한 거래 질서와 규칙이 확립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