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 10월 21, 2025
HomeToday관세청, 서울세관에 '가상자산분석과' 신설 검토

관세청, 서울세관에 ‘가상자산분석과’ 신설 검토


서울세관에 가상자산 분석 전담조직을 신설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다. 가상자산을 이용한 환치기(불법 외환거래) 수법이 지능화되고 있는데도 수사역량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는데 따른 조치다.

21일 국회에서 열린 관세청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영환 의원은 “외환사범 중 환치기가 금액 기준으로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가상자산을 이용한 환치기가 급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불법 외환거래 규모는 지난해 기준 17조984억원인데, 이 중 외환 사범 중 환치기 규모는 약 81%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구체적인 사례로는 ▲고객 신원 확인(KYC)이 어려운 비수탁형 지갑(메타마스크 등) ▲거래 추적을 끊어내는 ‘토네이도 캐시’ 등 첨단 기법을 악용하는 등이 있다.

김 의원은 “가상자산을 활용한 환치기 수업이 지능화되고 있지만 관세청에서 이 수법을 쫓아가지 못하고 있다”며 “인력을 확대해 변화된 환치기 수법을 쫓아가야 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불법 외환 거래 정보 분석을 전담하는 정보팀 인원이 현재 단 3명에 불과하다”며 “최근 2658억 원 규모의 단일 환치기 사건이 적발된 것처럼 수법이 교묘해지는 상황에서, 3명의 인력으로는 국가적 과제인 외환 밀반출 및 환치기 적발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이 청장은 “기존에는 외화 자체를 환치기 했는데, 이제는 가상자산을 환치기하는 수법으로 진화하고 있다”면서 “서울세관에 가상자산 분석과 신설을 검토하고, 이 부분에 전담 인력과 분석을 고도화하겠다”고 답변했다.

한편,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관세청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토대를 토대로 보면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외국인 가상자산 환치기 적발 금액은 총 3조7000억 원, 28건으로 집계됐다.

외국인 가상자산 환치기 사범 가운데 중국인 비중은 90%(25건)에 달했다. 금액 기준으로도 전체의 84%인 3조1500억원이 중국 국적의 외환 사범에게서 적발됐다. 나머지 외국인 환치기 사범은 러시아, 호주, 베트남 국적 각 1건씩이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