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금융시장과의 연결성이 확대돼 잠재적인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가상자산이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비트코인과 한국 주가 지수와의 상관관계는 0.2~0.4였으나, 팬데믹 이후 가격 상관관계는 0.8 이상으로 급등했다.
국내 금융시장과 비트코인 가격 사이의 변동성 상관관계도 2020년 이전 0에 가깝거나 10% 미만으로 미미했었으나 팬데믹 이후에는 30~40%포인트 상승했다.
우리나라 가상자산 시장은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과 함께 급성장했다.
2021년 말 기준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의 시가총액은 2조3043억 달러로 2019년 말보다 10배 이상 증가했다.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시가총액도 2021년 말에는 55조2000억원으로 한국거래소 상장주식 시가총액의 2% 정도에 불과했다.
하짐나 가상자산 일 평균 거래 규모는 11조3000억원으로 유가증권시장의 절반에 육박하고 있다.
가상자산 이용자 수 역시 2020년에 121만명에서 2021년에 558만명으로 급격히 늘었다.
이처럼 가상자산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금융안정의 잠재적인 위험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따라 금융권에서는 가상자산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고서는 “가상자산에 대한 금융기관의 직·간접적 익스포저는 금융기관의 자산 건전성을 떨어뜨리고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높일 수 있다”면서 “가상자산 투자자들의 투자 손실로 인한 자산효과는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적절한 투자자 보호 조치와 가상자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가운데 개인 투자자들의 가상자산 보유가 확대되면 시장 신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미국이나 유럽연합은 가상자산에 관해 활발한 연구와 입법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반면 한국의 디지털자산기본법 제정과 규제체계 마련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건전한 시장 육성을 지향하면서도 과도한 규제가 금융산업의 혁신을 저해하지 않도록 균형 있는 접근을 할 때 가상자산 시장이 적절히 발전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