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가 6000좌 이상의 법인계좌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가상자산 법인계좌 도입을 앞두고 우위를 선점했다고 평가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지난해 말 기준 총 5000여개에 달하는 법인 고객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인 고객들이 개설한 계좌 수는 6000좌 이상이다.
케이뱅크는 지방검찰청과 세무서 등 49개 국가기관이 가상자산을 거래하기 위해 케이뱅크의 법인계좌를 개설하고, 가상자산을 거래 중이다.
특히 케이뱅크는 100% 비대면으로 법인계좌를 개설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전문은행 중 100% 비대면으로 법인계좌를 개설해 준 곳은 케이뱅크가 유일하다.
지난해부터는 국고 환수를 위해 검찰과 국세청 등 국가기관이 가상자산 법인계좌를 개설하고 실제로 가상자산을 거래하고 있다.
국고 환수 목적으로 검찰과 국세청 등 49개 국가기관도 케이뱅크 법인계좌를 개설해 가상자산을 거래 중이다.
국가기관은 지난해 범죄 수익으로 몰수·추징된 가상자산을 국고로 환수하는 절차가 개선되면서, 그동안 가상자산 거래소의 실명 계좌 발급과 안정적인 관리가 이뤄진 케이뱅크를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에서는 금융위원회가 올해 업무계획에서 법인의 거래소 실명계좌 발급을 비영리법인부터 단계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케이뱅크가 강점을 보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게다가 케이뱅크는 국내은행들과 다르게 복잡한 금융상품을 취급하지 않아 자금 세탁 위험 노출 가능성도 적은 것으로 보인다.
케이뱅크는 향후 가상자산 법인 계좌가 확대 도입될 경우 수익성 강화를 위해 커스터디(수탁) 사업 등 다양한 가상자산 연계 사업방안을 향후 검토할 계획이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6년 넘게 법인계좌 서비스를 운영하는 데다 49개 국가 기관을 대상으로 가상자산 법인계좌도 제공하고 있어 강점이 많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도 “검찰과 국세청 등 국가기관에서 국고 환수를 위해 가상자산 법인계좌를 개설하고 이미 거래하고 있어 법인계좌 확대 시 운영 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한 케이뱅크가 강점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