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하원이 오는 7월 둘째 주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 투표를 진행한다.
21일(현지시간) 더블록 등 외신은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가 다음 달 둘째 주 스테이블코인 및 가상화폐 관련 법안 표결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표결에 부쳐지는 법안의 상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패트릭 맥헨리 미 하원 금융 서비스 위원장은 “다음 달 투표를 통해 가상화폐 시장에 있어 증권과 원자재 상품 개념에 대한 명확한 경로를 제공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어 “디지털 자산을 증권 보다 규제 허들이 낮은 상품으로 규제할 수 있는 법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포괄적인 규제 마련을 위한 법안이 별도로 논의될 전망이다.
지난 4월 미 하원 금융 서비스 위원회 공화당 의원들은 민주당과 새로운 협의 출발점이 될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 입법안 초안을 발의한 바 있다.
해당 법안은 연방 정부가 테러리스트나 다른 범죄자들이 가상자산을 사용하는 방법 연구를 포함해 불법 활동에 대한 가상자산 사용 사례 연구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다만 해당 법안이 시행되기 위해서는 상원의 다수를 차지하는 민주당의 지지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서명이 필요한 상황이다.
가상화폐 및 스테이블코인 법안은 다음 달 표결에 부쳐지고, 금융서비스위원회에서 가결될 경우 하원 전체 회의로 넘어가게 된다.
한편,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청문회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이 한 종류의 화폐라는 의견을 밝혔다.
그는 “결제용 스테이블코인도 화폐의 한 형태”라며 “스테이블코인 규제에 중앙은행의 강력한 감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발언은 공화당이 발의한 스테이블코인 법안에 대한 반응을 묻는 맥신 워터스 의원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나왔다.
그러면서 파월 의장은 “연방정부가 아닌 주정부 차원에서 스테이블코인을 규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견해도 밝혔다.
파월 의장의 해석은 스테이블코인 역시 증권으로 간주하는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개리 겐슬러 위원장의 견해와는 상반되는 것이다.
한편, 스테이블코인이란 법정화폐 또는 특정자산의 가치를 일대일로 추종하는 가상화폐로,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