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텍사스 상원이 주정부 차원의 비트코인(BTC) 준비금 도입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한다.
17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유투데이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 상원은 공청회를 열고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 시행에 관한 법안(SB21)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 법안은 올해 초 찰스 슈워트너 상원의원이 발의한 것으로, 텍사스 부지사 댄 패트릭은 법안을 상원의 40개 최우선 법안 중 하나로 지정했다.
텍사스는 세계 최대의 비트코인 채굴 허브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텍사스에 본사를 둔 비트코인 공공 채굴자들은 전체 암호화폐 해시레이트의 52%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텍사스는 주요 암호화폐를 위한 주 단위 매장을 설립하는 데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점쳐진다.
다만 전문가들은 텍사사의 이러한 조치가 ‘상징적 행보’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리야 칼체프 네소 애널리스트는 “주정부 차원의 조치가 비트코인의 제도적 채택을 넓히는 작음 움직임이 될 수는 있지만, ETF(상장지수펀드) 자금 유입이나 기업 재무부 보유량 확대 같은 요인에 비하면 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새로운 비트코인 매입 계획이나 주요 정책 변화가 나오지 않는다면 시장이 큰 반응을 보이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텍사스의 친(親) 암호화폐 성향은 이미 잘 알려졌기 때문에 단순 청문회만으로는 비트코인 가격에 의미있는 변화를 줄 가능성이 낮다”고 예상했다.
미국에서는 친 가상자산 대통령을 공약으로 내걸었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하고, 비트코인의 전략자산 추가를 발표하자 주정부 차원에서 비트코인 준비금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현재 미국 내 총 22곳의 주(州)가 자체적으로 비트코인 전략준비자산 지정 법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중 비트코인 전략준비자산 지정 법안이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곳으로는 유타, 애리조나, 텍사스가 있다.
연방 의회 차원에서도 신시아 루미스 와이오밍주 상원의원이 지난 2024년 7월 ‘비트코인 전략준비자산 지정’ 법안을 발의한 바 있다.
해당 법안은 미국 재무부가 향후 5년에 걸쳐 비트코인 총 공급량의 5%에 해당하는 100만 개를 매입해 최소 20년간 보유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주정부의 자발적인 비트코인 보유를 허용하자는 내용도 담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