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가 스테이블코인 규제법 시행을 앞두고 가상자산을 악용한 자금세탁 및 불법활동 탐지 기술에 대한 공공 제안을 요청했다.
19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 등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는 가상자산 불법 활동을 근절하기 위해 금융 기관의 역할에 대한 시민 의견 수렴을 수집하기 시작했다.
미 재무부는 60일간 ‘디지털 자산 관련 자금세탁 등 불법활동을 탐지하기 위한 혁신적 또는 신규 기법, 전략, 기술’에 대한 금융기관 및 민간 부문의 의견을 공식적으로 요청했다.
의견은 디지털 자산과 관련한 불법 금융 위험을 탐지·완화하기 위한 기술과 전략, 자금세탁 방지 방안, AI·API 활용, 디지털 신원 확인, 블록체인 모니터링 등에 초점이 맞춰질 예정이다.
제출된 의견은 향후 스테이블코인 발행기관에 대한 감독 기준 수립 및 감시 체계 정비에 반영된다. 의견 제출 기한은 오는 10월 17일까지이며, 관련 내용은 미국 연방 정부 웹사이트인 ‘regulations.gov’에서 공개된다.
재무부는 제출된 의견들을 토대로 인공지능(AI), 블록체인, 디지털 신원 확인 등 기술을 활용한 불법활동 감시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달 미국에서 통과한 스테이블코인 법안 ‘지니어스법’에 규정된 부분이다.
지니어스법은 완전담보형 스테이블코인을 규율하는 첫 연방법으로 스테이블코인의 제도권 편입을 인정하는 동시에 금융 안정성을 강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해당 법안은 재무부가 금융기관이 활용할 ‘암호화폐 불법활동 감시 혁신 기술’에 대한 공공 의견을 수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지니어스법은 관련 규제안이 마련된 뒤 120일 혹은 법 제정 후 18개월 이내에 발효된다.
스콧 베슨트 미국 재무장관은 이날 소셜미디어 X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은 전 세계 수십억 명이 달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미국 국채 수요를 급증시킬 것”이라며 “이는 스테이블코인 사용자, 발행자, 미국 재무부 모두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든다”며 법안 관련 논평 참여를 촉구했다.
한편,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지니어스법 통과로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된다는 의견이 나온다. 실제로 스테이블코인 공급량은 2020년 약 120억 달러에서 2025년 2200억 달러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