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비트코인(BTC) 전략 비축안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행정 조치보다는 의회의 입법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28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크립토슬레이트 등에 따르면 매슈 시겔 반에크 가상자산 리서치 책임자는 ‘비트코인 컨퍼런스 2025’에서 이러한 의견을 제기했다.
시겔은 “미국이 비트코인 전략 비축을 확대하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비트코인 채굴 인센티브를 의회 예산 조정 과정에 포함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내 비트코인 채굴업체에게 블록 보상 중 일부를 정부 지갑에 로열티로 납부하게 하면, 세금 없이 비트코인을 확보할 수 있다”면서 “의회 예산 법안에 비트코인 채굴 기업에 대한 세금 공제와 메탄가스를 활용하는 채굴업체에 대한 인센티브를 포함하게 하는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어 “이럴 경우 채굴된 비트코인의 일부를 연방 정부와 공유할 수 있다”면서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트코인 비축을 자연스럽게 확대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 전략 비축을 위해 직접 채굴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트코인 채굴 기업 마라톤디지털홀딩스의 프레드 틸 최고경영자(CEO)는 비트코인 2025 컨퍼런스 패널 토론에서 “미국 정부는 수력 발전을 활용해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등 예산 중립적 방식으로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량을 채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전략적 비축을 확보하는 것은 필수적”이라며 “비축 선언만으로는 의미가 없으며, 실제로 비트코인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3월 7일 행정명령을 통해 미국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을 창설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예산 중립적 전략이나 자산 몰수를 통해서만 비트코인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따라서 일각에선 비트코인 비축량을 전략적 비축량으로 전환하는 것 이상으로 더 큰 비축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선 금 보유량 일부를 비트코인으로 전환하는 방안이 논의 중이다. 신시아 루미스 와이오밍주 상원의원은 지난해 7월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 법안을 제출하며 이러한 방안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