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5월 16, 2025
HomeToday美 법무부 "북한이 불법 취득한 암호화폐 사용 차단"

美 법무부 “북한이 불법 취득한 암호화폐 사용 차단”


미국 법무부가 북한이 불법으로 취득한 1억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 사용을 차단했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21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법무부의 매슈 올슨 국가안보 차관보가 최근 미국 후버연구소 주최의 토론회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보도했다.

올슨 차관보는 “우리의 암호화폐 추적 능력과 압류 집행을 통해 1억 달러 이상의 불법 취득 암호화폐가 북한 미사일 프로그램 지원에 사용되는 것을 막았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정부는 자산 동결과 제재 등을 통해 북한이 블록체인에 묶여 있는 불법 취득 수익에 접근하는 것을 막았다”면서 “북한과 중국, 러시아, 이란 등의 사이버 공격을 막기 위한 사이버 전담 부서도 신설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러한 노력은 수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훔쳐 온 북한 해커와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해 불법 수익을 얻는 북한 정보기술(IT) 노동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짚었다.

또 “미국에 대한 사이버 위협이 놀라운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면서 “그 규모 역시 상당하며, 수법이 매우 정교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사이버 안보를 위협하는 국가로는 북한과 러시아, 중국, 이란이 있다”면서 “이들 국가는 민감한 기술과 영업비밀, 지식재산 및 개인정보를 훔치고 있으며, 우리의 중요한 인프라를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북한은 군사적 야망과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데 필요한 자금과 기술력을 훔치기 위해 불법적인 사이버 활동에 눈을 돌리고 있다”고 질타했다.

한편, 북한의 암호화폐 탈취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면서 우리 정부도 미국과 보조를 맞춰 관련 대응을 강화해나가고 있다.

한미 양국은 지난해 8월 설립한 실무그룹을 중심으로 북한이 탈취한 가상자산 일부를 동결·압수했고, IT 인력 차명 계정을 상당 부분 차단하고 이들의 활동을 위축시키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관계자는 “주요국 정부와 관련 민간 업계와의 국제 공조를 강화해나가고, 추가적인 독자제재 지정 등 다양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