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형 은행들이 스테이블코인 공동 발행을 검토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월가의 주요 은행들이 컨소시엄을 결성해 스테이블코인을 함께 발행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스테이블코인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도록 미 달러화나 유로화 등 특정 자산에 가치를 고정하는 가상화폐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달러, 유로, 엔화 같은 기존 법정화폐에 가치를 1대 1로 연동(페깅)해 발행된다.
보도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 씨티그룹, 웰스파고 등 대형 은행과 P2P결제 플랫폼 젤(Zelle)을 운영하는 얼리 워닝 서비스, 실시간 결제 네트워크인 클리어링 하우스 등이 스테이블코인 발행 논의에 참여 중이다.
대형 은행들의 이같은 논의는 월가의 주류 금융과 가상화폐 금융이 점차 가까워지고 있단 신호로 해석된다.
다만 해당 논의는 아직 초기 개념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스테이블코인 관련 입법의 향방과 충분한 시장 수요가 있는지 여부가 향후 추진 여부를 가를 것으로 예상된다.
WSJ는 “대형 은행들의 움직임은 월가 주류 금융과 가상자산 생태계 간의 간극이 좁아지고 있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현재 미 상원에서는 ‘지니어스 법안(Geniuses Act)’이라 불리는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이 본회의 표결을 앞두고 있다.
지니어스법안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의 라이선스 취득 △100% 준비금 확보 △공시 의무 등을 부여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특히 이 법안은 스테이블코인을 증권, 상품, 예금, 보험 등으로 취급하지 않고 제3의 디지털 자산으로 취급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이로 인해 스테이블코인은 예금보험공사(FDIC) 보험 대상에 적용이 되지 않는다.
대신 스테이블코인 발행 업체는 △발행량과 1:1로 대응되는 준비자산(현금, 은행예금, 단기 국채 등)을 유지할 것 △공인 회계법인의 검증을 거친 준비자산 보고서를 매월 공시할 것 △코인 이용자에 대한 상환 의무를 질 것 등을 유의해야 한다.
한편, 현재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테더와 서클 같은 암호화폐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다. 시장 규모는 약 2450억 달러(약 337조 원)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