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의 인공지능(AI)·가상화폐 정책을 총괄하는 차르로 임명된 데이비드 색스가 비트코인의 타당성을 연구하겠다고 예고했다.
색스는 4일(현지시간) 팀 스콧 상원 은행위원회 위원장, 존 부즈먼 상원 농업위원회 위원장, 프렌치 힐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위원장, G.T. 톰슨 하원 농업위원회 위원장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통해 트럼프 행정부가 디지털 자산, 블록체인 기술, 그리고 관련 기술의 책임감 있는 성장과 활용을 모든 경제 부문에서 지원하는 것을 정책으로 삼겠다고 밝혔다”고 짚었다.
이어 “이를 위해 가상자산과 관련된 행정기관 태스크포스를 설립했고, 베슨 재무부 장관, 레닉 상무부 장관, 그리고 곧 임명이 확정될 본다이 법무부 장관을 포함한 주요 행정부 인사가 해당 조직에 포함됐다”면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또한 TF를 구성해 관련 문제를 다루고 있다”고 소개했다.
색스는 “우리의 임무는 미국에서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가상자산의 발행과 운영을 규율하는 연방 규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것”이라며 “지난 몇년 동안 창업자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그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이 명확한 규제라는 점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또 “상원과 하원이 협력해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을 추진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면서 “스테이블코인은 미국의 국제적 주도권을 유지하고, 세계 기축 통화로서 미국 달러의 디지털 사용을 증가시킨다. 이 과정에서 미국 국채에 대한 수조 달러 규모의 수요를 창출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색스는 비트코인을 국가 전략 자산으로 비축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비트코인의 전략적 비축을 평가하도록 요청했다”면서 “백악관 실무 그룹이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 타당성을 조사하고 있다”고 알렸다.
그러면서 “금융자산은 결국 디지털화될 것이다. 이는 과거 아날로그 산업이 디지털화된 흐름과 같다”며 “우리는 이러한 가치 창출이 미국 내에서 이뤄지길 바라고 있다. 다른 나라에 넘겨주고 싶지 않다. 미국을 가상자산 중심국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