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일본 자민당이 암호화폐 세제 개혁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개혁안에는 암호화폐 거래 수익에 대해 분리과세하고, 암호화폐가 국민 경제에 기여하는 자산이 되도록 사이버 보안을 개선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매체는 “만약 해당 개혁안이 추진돼 분리과세 세율 20%가 적용되고 손익이월제도가 도입되면 투자자들의 수익 개선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현재 일본에서는 암호화폐 수익을 기타 소득으로 간주, 최대 55% 세율을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날 영국에서 구글의 암호화폐 광고 정책 업데이트에 따라, 현지 암호화폐 제품 및 서비스를 홍보하려는 광고주는 오는 2025년 1월부터 영국 금융감독청(FCA)의 승인을 받아야 하게 됐다.
다만 하드웨어 월렛은 프라이빗 키만 저장하고 거래는 하지 않을 경우에 한해 FCA 승인 없이 광고가 가능하다.
한편, 같은 날 브라질 투자자들이 투자금의 최대 35%를 암호화폐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 증권거래위원회(CVM)가 자국 투자자 7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들은 평균 예금의 7.5%를 암호화폐 월렛에 보유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자신을 보통 투자자라고 응답한 사람들은 투자금의 21%를, 적극적 투자자는 투자금의 35%를 암호화폐로 갖고 있다고 응답했다.